성층현상 (Stratification)

수심에 따른 온도변화로 인해 물의 밀도가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밀도차로 인해 호소에서 몇개의 층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성층현상이라 한다.

이러한 현상은 물의 수직운동이 없는 겨울이나 여름에 일어나며 특히 여름에 더 뚜렷하게 생긴다. 봄과 가을에는 수직혼합이 활발히 진행되어 성층현상이 사라진다.


성층현상의 원리

겨울에 수면이 얼게 되면 0℃보다 낮아지기도 하지만 얼음 밑의 물의 기온은 조금 더 높은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온도에 따라 물의 밀도가 달라지게 되는데 4℃ 정도에서 최대 밀도를 갖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물이 평형상태에 있고 수직적인 혼합이 없게 된다.

봄이 되어 얼음이 녹으면 수면의 온도가 높아지기 시작하여 4℃가 되면 밀도가 최대가 되므로 밑으로 이동하게 되고 반면 밑부분의 물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여름이 되면 수면의 온도가 점차 높아지면서 수면 부근의 물의 밀도가 낮아지게 되고 더 깊은 곳과의 온도차가 커져서 순환현상, 즉 수직운동은 점점 상부층에만 국한된다.

가을이 되면 수면의 온도가 내려가면서 수직적인 정체현상은 파괴되고 물은 다시 수직적인 혼합을 이루게 된다.

성층현상의 특성

수직방향의 물 운동이 없다면 변온층을 중심으로 상부의 표수층, 하부의 심수층으로 구분된다. 수면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표수층에서는 공기중의 산소가 재포기되므로 용존산소농도가 높아서 호기성 상태가 되는 반면 심수층에서는 용존산소가 부족하거나 완전히 없어서 결국 혐기성 상태가 된다. 이런 경우 바닥부근에는 침전된 유기물이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므로 수질은 크게 악화된다.

이와 같이 물이 수심에 따라 여러 개의 층으로 분리되는 현상을 성층현상(stratification)
이라고 하며, 이 결과 생기는 변온층, 표수층, 심수층들을 열-밀도층 (thermal-density layers)또는 열층(thermal layers)이라고 한다.

여름과 겨울에는 수직운동이 없어서 수심에 따라 온도와 DO농도, 물질의 농도차가 크지만 봄, 가을에는 순환현상이 발생하여 수심에 따른 농도변화가 적다.

봄과 가을철의 수직운동은 대기중의 바람에 의해서 더욱 가속된다

식물플랑크톤의 개체수와 클로로필의 관계

위성영상을 이용해서 클로로필을 조사하는 논문이 많이 보인다. 대략적으로 플랑크톤의 위치나 양을 짐작하기 위함인 듯하다. 그런데 만약 식물플랑크톤의 양을 표시하고 싶다면 어떤 식으로 표시를 할까? 조사해보니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은 세포의 개체수, 클로로필, ATP, 세포체적, 탄소량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고 한다.

이 중에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으로는 클로로필을 이용한 표시 방법이라고한다. 왜냐하면 클로로필a는 모든 광합성을 하는 식물에 존재하고, 다른 방법들에 비해 빠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종에 따라서 클로로필 당 탄소량이 달라지고, 같은 종에서도 성장상태에 따라 비율이 다르다. 그리고 세포 내의 클로로필 양은 light-dark cycle 에 따라 변하는 일주기성을 가지고 있어 시간에 따라 그 양이 변한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인지 클로로필과 식물플랑크톤의 개체수의 상관관계가 별로 높지 않다고한다. 즉, 클로로필을 이용해 개체수를 표현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다.

참조
심재형,신윤근, "천수만일차생산자의 생물량:식물플랑크톤 탄소량과 세포개체수 및 클로로필과의 관계",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1989, 24(4), pp. 194-205.


영양염

생물의 생육과 증식에 필요한 무기성 원소이다. 수중에 영양염의 농도가 자연상태일 때보다 더 높을 경우를 부영양화 상태라고한다.

종류로는
  • 인산염 (Phosphate)
  • 질산염 (Nitrate)
  • 규산염 (Silicate)
이 있다.


식물플랑크톤의 경우 세포 내 인:질소:탄소 비율이 1:16:106 으로 이루어져있다. 그중 탄소는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지만 물 속에 녹아있는 이산화탄소 및 탄산염계열이 풍부하기때문에 보통 인과 질소가 부족해 식물플랑크톤의 성장 및 번식에 제한요소로 작용한다.


해수 유형 : Case 1 Water, Case2 Water

해양광학적인 측면에서 해수는 ‘Case 1 water’와 ‘Case 2 water’의 두 가지 유
형으로 분류된다.

Case 1 water

식물성 플랑크톤에 의해 주로 광특성이 결정되는 해수로서 대양의 맑은 해수가 대표적이며, 식물성 플랑크톤의 유기 쇄설물, 동물플랑크톤의 부산물 등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Case 2 water

부유물(SPM), 비색소 생물입자, 용존유기물 등에 의해서 해수의 광 특성이 결정되는 해수로서 상대적으로 높은 생산력을 가지고 있는 연안의 탁한 해수가 대표적이다.

1980년 경에는 이러한 해수의 컨셉을 구분하는 것이 바이오 광학(bio-optical) 모델을 만들 때 유용한 지침이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구분이 해색 원격탐사나 bio-optical oceanography에 큰 도움이 되었다. 하지만 현재에는 더 이상 과학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별로 되지 않는다. 그리고 Case 1 - Case 2 구분에 정확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오히려 더 혼란을 주거나 알고리즘 성능을 더 나쁘게 만들 수도 있다고 한다.

더 자세한 내용은 이 PDF에서 확인할 수 있다.